※이지스 퍼블리싱에서 출판된 HTML + CSS +JAVASCRIPT 책을 보며 처음 보는 것들을 정리중
background-clip: border-box(기본값) | padding-box | content-box
박스모델 관점에서 배경의 적용 범위 지정
border-box : 테두리 까지 배경 적용
padding-box : 테두리를 제외한 패딩 범위 배경적용
content-box : 내용(컨텐츠) 부분만 배경적용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background-clip
*box-sizing의 속성과 헷갈리지 말기...
box-sizing: content-box(기본값) | border-box
border-box: 테두리를 포함해 너비값 지정
content-box: 컨텐츠 영역만 너비값 지정
{width :300px;}에 padding: 10px;을 주고 border: 2px을 주었을때
content-box=> content범위+ padding10px*2 +border 2px*2 @실제 너비 == 300+20+4 =324
border-box=> width:300px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box-sizing
background-orgin: content-box(기본값) | padding-box | border-box
배경이미지 적용범위 지정
content-box : 박스 모델에서 내용 부분에만 배경 이미지를 표시
padding-box : 박스 모델에서 패딩까지 배경 이미지를 표시
border-box : 박스 모델에서 테두리까지 배경 이미지를 표시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background-origin
이 두 가지를 보다 보니 차이점을 찾을 수 가 없었다. 혹시 몰라서 구글에 검색해보니 아래의 링크에서 차이점을 찾을 수 있었다
'Today I learned! > 오늘 하루 배운 것, 기억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302 +메이킹 챌린지 후기 (0) | 2022.03.02 |
---|---|
[Javascript] 기본 문법 (0) | 2022.02.09 |
[css] overflow, backface-visibility (0) | 2022.02.07 |
[css] 속성 선택자 (0) | 2022.02.04 |
[css] gradient (0) | 202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