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중...10

~153p p137 값에 의한 전달 : 원시값을 갖는 변수는 다른 변수에 할당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 참조에 의한 전달 :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값이 복사되어 전달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값으로서 변경할 수 없다. p138 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변수 값: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변경 불가능 상수: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1번만 할당이 허용되므로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없음 원시값의 특성: 어떤 일이 있어도 불변.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 원시값을 할당한 변수에 새로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있는 재할당 이전의 원시 값을 변경하는 .. 2023. 1. 9.
읽기 -(230106발행) https://ktseo41.github.io/blog/log/avoid-these-common-pitfalls-of-react-usestate.html?utm_source=substack&utm_medium=email 리액트에서 useState를 사용하면서 저지를 수 있는 흔한 실수들 | bohyeon.dev ktseo41.github.io 인상깊었고, 개발을 하면서 주의해야겠다 라고 생각했던 부분 1. 불필요한 useState 사용 자제 - 불필요한 useState남발은 추가 렌더링을 야기시킬 수 있다(그러나 ‼리액트 18에서 상태 업데이트는 일괄적으로 처리) - 유지 관리 가능성과 버그를 유발할 수 있음 2.useEffect 를 이용한 상태 업데이트 - useEffect는 읽고 이해하기 쉽지 않기 .. 2023. 1. 8.
~p136 p124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다. 원시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함수, 배열, 정규표현식 등)은 모두 객체다. 원시값은 변경불가능한 값이지만 객체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가 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므로 값으로 취급할 수 있는데, 프로퍼티값이 함수일 경우는 메서드라 부른다. p125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구성된 집합체 프로퍼티: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 메서드: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조작할수있는 동작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포함할 수 있기때문에 상태와 동작을 하나의 단위로 구조화 할 수 있다 .-인스턴스 클래스에 의해 생성, 메모리에 저장.. 2023. 1. 3.
~p123 왜 타스를 쓰는 방향으로 가는지 알게 된 파트! p108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캐스팅이라 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걸 암묵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강제 변환이라 한다. p109 타입 변환이란 기존 원시값을 사용해 다른 타입의 새로운 원시값을 생성하는 것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표현식을 에러없이 평가하기 위해 피연산자의 값을 암묵적 타입 변환해 새로운 타입의 값을 만들어 단 한번만 사용하고 버린다. 작성한 코드에서 암묵적 타입 변환이 발생하는지, 발생한다면 어떤 타입의 어떤 값으로 변환되는지, 타입 변환된 값으로 표현식이 어떻게 평가될 것인지 예측가능해야 한다.예측하지 못하거나 예측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 2023. 1. 2.